피임약은 많은 여성들이 선택하는 피임의 한 수단이다.
예민한 부분이기에 말도 많고, 오해도 많다. 사실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얘기하는것 자체를 기피하다보니 잘못되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하거나 정보를 접하는 경우가 많다.
피임에 대한 잘못된 오해와 사실 몇가지를 알아보자.
피임약 복용이 장기화 되면 불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피임약을 복용하게되면 살이 찐다?
피임약 복용 시 살이 찐다는 말 또한 잘못된 속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얼마 전까지 피임약은 체내 수분을 축적시켜 체중이 약간 증가할 수 있었다고 하나 최근에 개발된 저용량 경구 피임약의 경우 약간의 이뇨 효과로 수분 축적을 막아 체중 증가와 관련이 없다고 한다.
관계후에 피임약을 많이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피임을 따로 하지 않은 채 성관계를 한 후 피임약 3~4알을 복용하면 피임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이는 과거 응급 피임약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에 사용하던 방법으로, 구토와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이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임신을 막고 싶다면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전문의 상담을 거쳐 약을 처방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올바른 방법이다.
질외 사정으로 100% 피임이 되니 피임약을 굳이 안먹어도된다?
질외 사정으로 피임이 가능하다고 맹신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고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100% 피임을 장담하기 어려운 방법으로, 질 안에 사정하지 않으면 임신이 어렵지만 성적 흥분이 최고조에 달한 순간 오로지 남성의 느낌에만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험이 따를 수 있다. 그러므로, 마찬가지로 전문의 상담을 통해 72시간내에 약을 처방받는방법이 올바르다.
피임약과는 관계없는 얘기지만,
콘돔 사용시 성병을 100% 막을 수 있다?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면 성병 감염률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역시도 장담할 수는 없다. 피임법 중 성병 감염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은 콘돔이 유일하지만 그 효과는 90% 정도다. 콘돔으로 덮을 수 없는 피부 상처나 타액 등으로 인해 성병에 감염될 수 있다.
건강 읽어주는 남자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공감하트↓
꼭 눌러주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환자는 운동을 해도 될까요? (0) | 2017.12.11 |
---|---|
매년 걸리고 낫기를 반복하는 감기. 바로 이것 때문이다. (0) | 2017.12.10 |
아름답고 건강한 어깨를 만드는 비법. (0) | 2017.12.08 |
간 질환이 있는 환자는 치과 치료를 어떻게 해야할까? (0) | 2017.12.07 |
여성들의 관심사, 생리대는 들어봤는데 생리컵은 뭐지?? (0) | 2017.12.05 |
댓글